한명욱 개인전 자연의 시그널, 중화와 소리

한명욱
2023 08/23 – 08/28
본 전시장 (1F)

한명욱 HAN MYUNG WOOK

 

작업에 대하여

 

숙명여대에서 한국화전공 학사, 석사과정을 마친 후 일본 동경예술대학대학원 문화재 보존수리수복 일본화 석사과정을 마친 뒤 한국의 모교로 돌아와 박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나는 일본에서 공부한 전통재료에 대한 종류와 다루는 방법을 자신의 작업과 연결시켜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종이인 순지에 물감을 여러 번 칠하여 색감의 변화를 주고 건조시킨 뒤 조심스럽게 구겨준다. 이 과정에서 물감이 탈락되어 요철이 생기는 화면밑바탕이 생성된다. 순지에 드러난 색감의 요철은 나에게 중요한 작업 키워드 요소이다. 가장 밑의 내면에 가지고 있는 감정의 색이 구김의 요철로 인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그 감정의 색은 차가운 색이 될 수도 있고 따뜻한 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종이에 생긴 구김을 펴주기 위해 직접 배접을 하고 화판에 붙여주고 잘 말린 다음 채색을 들어간다.

그렇게 만들어진 나의 화면 속에는 잎사귀가 순백을 이루는 하얀 꽃들과 작은개구리가 주로 등장한다. 백색의 꽃잎은 순수함과 고결함을 상징하고 그와 동시에 자만하지 않는 겸손함을 갖게 해준다.

또한 나에게 자연이 주는 소중함은 아이가 태어나고 자라면서 더욱 새롭게 느껴진다. 아기는 태어나면서 어떠한 때도 묻지 않은 순수함 그 자체로 존재한다. 부모라는 둥지에서 태어났지만 결국은 스스로 성장해 나아가야하는 아이를 보면서 부디 자연의 흐름대로 아름답게 커나가기를 염원한다. 그러한 염원과 자연속의 일부인 식물과 곤충들 그리고 우리들까지… 이 모든 것에 신비함을 가지고 궁금해 하는 내 아이를 보며 같이 궁금해 하고 자연에 대해 새로이 알게 되면서 감사하게 느끼게 되는 감정들을 나의 작업에 풀어내 보고자 하였다.


 

한명욱의 회화

 

자연의 시그널, 중화와 소리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중화는 상호간 이질적인 것들이 서로 화합해 조화를 이룬다는 말이다.

자연이 꼭 그러하지 않은가.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 곧 자연소는 하나같이 다 다르다. 그렇게 다름과 차이가 어우러져 자연을 만든다. 작가의 경우가 그렇다. 형식 얘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그렇다면 작가의 그림에서 중화는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 밑칠이 드러나 보이도록 색채를 겹쳐서 칠한다거나, 비단에 그림을 그릴 때 앞뒷면 모두 채색해 색이 하나의 층위로 서로 스며들게 한다거나, 화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바림한 색감과 화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바림한 색감이 화면 가운데서 하나로 만나지게 한다거나 하는 것이 그렇다. 주지하다시피 서양화 재료는 불투명이고 한국화 재료는 투명이다. 불투명은 덮어서 가리지만, 투명은 자기에게 주어진 모든 색감을 다 받아들여 다만 깊어지거나 미묘해질 뿐이다. 이때 자기에게 주어진 모든 색감은 말하자면 상호간 이질적인 요소들로 볼 수가 있겠고, 그 이질적인 요소들을 자기 속에 불러들여 깊어지고 미묘해지는 것이고, 그렇게 중화가 실현되는 것이다.

여기에 작가는 소리를 통해 자연을 감각한다. 자연은 온갖 소리들로 가득하다. 살아있는 것들이 내는 소리다. 알만한 소리도 있고, 그렇지 않은 소리도 있다. 시적표현이지 싶지만, 어떤 예민한 사람은 봄에 단단한 흙을 비집고 새싹이 움트는 소리를 듣는다고도 한다. 어떤 시인은 바다 소리를 듣는 소라 고동에 대해서 얘기하기도 한다. 소라 고동을 귀에 대면 속이 빈 껍질을 통과하면서 공명되는 소리를 듣는 것이지만, 사실은 파도소리에 실려 온 전설과 기억을 듣는 것이란 점에서 시적 표현이긴 매 한가지다. 이처럼 소리는 생명력과 관련이 깊다. 소리는 말하자면 자연의 본질이고 존재의 본성이다. 그리고 시적암시와 관련이 깊다. 소리는 상상력을 자극해 지금여기에는 없는 무언가를 불러온다. 바로 이 지점에서 상징이 움튼다. 그리고 그렇게 예술은 상징이며, 암시의 기술이 된다. 그림의 경우로 치자면 청각기호(소리)와 시각기호(이미지)가 서로 호환되는 공감각의 기술이다.

자연의 소리는 말하자면 어떤 그림들의 제목이면서, 동시에 어느 정도는 작가의 그림을 관통하는 주제이기도 한 것이다. 그건 자연의 소리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다만 자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 소리다. 소리가 공명을 불러일으키려면 공간이 있어야 한다. 여기에 부응이라도 하듯 적절한 여백이 이런 공명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떠맡는다. 심플하면서도 단아한 평면 위에 한 땀 한 땀 수를 놓듯 정치한 묘사로 재현된 모티브가 대비되면서 자연의 소리를 암시하고, 어쩜 내면의 소리를 듣는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예술은 암시의 기술인만큼이나 착각의 기술이기도 한 것이다.

2019년 전시 평론글 부분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