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식 개인전
2024 08/28 – 09/03
본 전시장 (1F)
작가노트
東洋畵의 桃園畵에 나타난 自然思想 표현 연구
동양화와 도자의 융합을 통해 도판 위에 도원화를 그려 자연 사상을 표현했다. 도자기 소성과정에서 환원불, 산화불, 중성불 등, 그 날의 날씨, 습도, 온도에 따라 어쩌다 한 번 매우 드물게 ‘요변’(窯變)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보았다. 도자기에서는 요변이라 부르나, 동양화에서는 관념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요변은 인위가 더해지지 않은 자연으로, 매우 신비롭고 아름다우며, 기하학적인 모습으로 나타날 때가 있다. 이 도자기 요변을 응용하여 평면 도자기 도판에 옮겨서 이 요변의 기이한 자연조화를 표현했다.
평면 캔버스에 그린 동양화로 자연사상을 표현했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금강산의 자연을 재해석하고 입체와 질감으로 표현하여 평면 캔버스에 옮겼다. 나아가 명당도, 대자연(이상 세계의 자연 표현)을 통해 자연사상을 표현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자연환경의 보존과 생태계 문제에 간접적으로나마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자 한다.
평론 글
닮지 않은 닮음_근원을 지시하는 회화
신규식이 ‘닮지 않은 닮음’에 천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신규식의 예술을 추동하는 계기가 그리움이라고 생각한다. 이 화가의 예술은 근원에 대한 열망을 품고 있다. ‘도원’, ‘자연’, ‘명당’, ‘우주’ 등은 하나 같이 염원하지만 다다를 수 없는 근원 세계를 지시한다. 신규식의 작업노트에는 “인간이 참된 평안을 누릴 수 있는 곳”에 대한 진술이 있다. “우리가 돌아가게 될 ‘하나님의 품’”에 관한 언급에도 주목해야 한다. 이 화가는 다다를 수 없는 세계는 다다를 수 없는 세계로 나타내야 한다고 믿는다. 예술의 과제란 근원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근원을 지시하는 것이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이미지가 이미지로만 보이지 않을 때 우리는 비로소 이미지 자체에 대해 물음을 던진다. 마찬가지로 물질이 물질로서만 보이지 않을 때 우리는 물질 자체에 관해 질문하게 된다. 갈로는 석도의 “신기하게 변하는 몽롱한 사이”를 예술적 형상의 특징으로 보았지만 ‘몽롱한 사이’는 어쩌면 근원에 대한 열망을 간직한 모든 이들이 택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일 것이다.
홍지석(미술비평, 단국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