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원원 개인전 ON THE ROAD

왕원원
2018 08/28 – 09/03
2 전시장 (2F)

왕원원-시각적 이미지가 된 동양화

장정란(美術史. 문학박사)

왕원원의 그림은 대상의 사실적 묘사보다는 단순하게 형상화된 화면이 특징이다. 이것은 전통 동양회화를 다르게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발묵(潑墨)으로 표현한 농묵(濃墨)의 강렬함은 화면에 등장하는 산이나 물, 바위, 나무 ,연꽃등의 소재보다 우선 인상적으로 다가온다.
의도적으로 시각성을 강화한 모습이다. 화면에 등장하는 물상들은 단순한 형태이고 색채는 선명하고 강렬하게 구사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동양회화의 필묵과 표현기법을 감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왕원원이 디자인을 전공하고 전통 동양회화의 특징을 접목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의 화면에서 동양회화의 정체성은 이미지화된다. 전통 동양회화의 목표는 시각성에 있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우주의 실체를 그려내는 것이었다. 산수화는 사계절의 시간속에서 변하는 풍경이었고 화조화는 우주자연의 이치를 함유한 대상이었다.

왕원원의 작품에서 산수는 우주의 이치가 아니라 작가가 느낀 그 시간의 인상이다. 차가운 밤이 지나며 동터오는 산수풍경 〈東景〉은 청록색과 붉은색의 인상으로 다가온다. 색채로 인지하는 풍경이며 그 색채는 이른아침의 이미지로 전환된다. 화면의 空白의 공간도 붉고 푸른 색채로 운용되었다.
소나무와 바위가 있는 작품 〈蒼翠〉도 청신한 푸르름의 색채가 먼저 시선을 잡는다. 소나무의 잎들은 날카롭지 않고 그 아래 배치된 여러개의 바위는 삼각형 모양이다. 농묵의 강한 아우트라인이 바위들의 형태를 만들고 있다.
기존의 소나무 그림의 고고한 절개 개념은 생생한 생명성의 이미지로 변환되었다. 제목이 푸르름이라는 색채적 주제로 명기된것도 작가가 목표하는 작품의도를 읽게하는 부분이다. 즉 전통적 주제를 이미지화 하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연꽃소재의 그림에도 적용되고 있다. 연꽃은 佛家에서는 불국토로 儒家에서는 고결한 인품의 상징으로 전통 화조화에서 모두 사랑받아온 소재이다. 왕원원의 작품에서는 시간적 대상으로 시각화된다. 〈朝晞〉는 햇살이 퍼지기 시작하는 아침의 연화를 그린 것이다. 붉은 점으로 표현된 아침햇살은 조형화된 햇살의 인상이다.
〈蓮漪〉는 잔잔한 물결속의 연화로 〈조희〉와는 다른느낌의 연꽃이다. 기존의 연화의 상징이 아니라 대상의 그 시간적 상태를 그려내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그 상태를 농묵과 발묵, 그리고 선명한 색채로 시각성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은 봄을 표현한 그림 〈陽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봄빛의 따스한 분위기를 화면 가득히 여러 가지 색채의 점들로 표현한다.

이것은 왕원원이 전통 동양화의 방식을 새롭게 해석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것에 기인한다. 왕원원은 전통수묵기법인 潑墨과 筆線을 리듬감 있게 사용한다. 아울러 화사한 색채의 병용으로 왕원원의 그림은 발랄하고 동적이다. 형상은 모두 단순하게 생략되었고 그러므로 관객들에게 사실성으로 읽히기 보다는 시각적 인상으로 다가온다.

왕원원은 이렇게 전통 동양화의 고유한 표현방식을 강렬하게 단순화 시켜서 미디어 아트의 에센스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런 그림들은 다양하게 활용될수 있을 것이다. 애니메이션 배경이 될수도 있고 움직임을 넣으면 독립적인 영상작품이 될수도 있다. 이 시대의 트랜드에 맞게 단순하고 시각성을 강화하면서 동양회화만의 독특한 표현방식을 잃지않고 있다는 것이 왕원원 작품세계의 강점이라 할수 있겠다.

즉 철학적 읽기였던 전통 동양회화의 세계가 왕원원의 화면에서는 시간성의 시각적 인상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므로 또 다른 동양회화의 확장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그의 畵路가 기대된다.